본문 바로가기
한국 문화

한국 전통 상차림의 구성과 특징, 식사 예절

by 색색깔깔 2024. 6. 13.

 

한국 전통 음식 문화는 단순한 식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요. 상차림과 식사 예절에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철학이 깃들어 있어요. 한국 전통 상차림의 구성과 특징, 식사 예절 등을 알아보고 그 속에 담긴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전통 상차림의 구성

한국 전통 상차림은 반상차림, 독상 차림, 조선시대 1인 반상차림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상차림은 밥과 반찬의 주·부식 개념이 강한 전통 상차림 방식을 말하는데요.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 반상이 있습니다. 반상에는 밥, 국, 김치, 조치나물, 전골, 간장, 고추장, 초고추장 등이 포함되는데요. 반상차림은 음식의 배치와 구성이 매우 중요하며, 음식 간의 조화와 균형을 중시합니다. 독상 차림은 준비된 음식을 한꺼번에 모두 차려 놓고 먹는 공간 전개형 상차림인데요. 주식에 따라 밥상, 죽상, 면상, 주안상 등으로 구분됩니다.

 

독상차림은 음식의 배치와 구성이 자유로우며, 음식 간의 조화보다는 개별 음식의 맛과 품격을 중시합니다. 조선시대 1인 반상차림은 밥을 주식으로 하고 반찬을 부식으로 구성되는데요. 반찬 수를 기준으로 3첩, 5첩, 7첩 반상 등으로 구분돼요. 조선시대 반상차림은 음식의 배치와 구성이 매우 엄격하였으며, 상차림의 격식과 예법이 중요시되었습니다. 한국 전통 상차림의 특징은 음식의 조화와 균형을 중시하며, 음식 간의 맛과 색감, 질감 등을 고려하여 구성되는데요. 상차림의 격식과 예법이 중요하며, 상차림의 형태와 구성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전통 상차림의 특징

한국의 전통 밥상 차리는 순서와 음식 배치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상을 준비하는데요. 상 위에 깨끗한 상보를 깔고, 그릇과 수저를 가지런히 배치합니다. 밥그릇, 국그릇, 찬기 등 기본 그릇들을 준비합니다. 다음은 음식을 배치합니다. 밥그릇은 왼쪽에, 국그릇은 오른쪽에 놓습니다.중앙에는 간장 그릇을 배치합니다. 메인 요리나 찌개류는 중앙에 배치하고, 나물이나 전 등의 반찬은 그 주변에 둡니다. 전통적으로는 밥의 왼쪽에서 시계방향으로 젓갈, 생선, 김치, 나물, 수육, 생선구이 등 6가지 반찬을 배치합니다.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등 당양한 생상의 음식을 색감과 조화를 고려하여 배치합니다. 

 

다음은 수저를 배치합니다. 숟가락은 왼쪽에, 젓가락은 오른쪽에 가지런히 놓습니다. 수저와 젓가락은 음식에 닿지 않도록 배치합니다. 상을 마무리하는데요. 상보로 음식을 덮어 보호하고, 필요한 경우 전통 받침을 추가합니다. 상차림이 완성되면 가족들이 편하게 식사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한국 전통 상차림의 특징은 음식의 배치와 조화를 중요하게 여기며, 밥, 국, 반찬의 구성이 중요하고,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 상차림이 달라집니다. 수저와 젓가락의 배치도 중요한 요소이며 상차림의 격식과 예법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한국의 식사 예절

식사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손을 씻을 때는 흐르는 물에 비누로 꼼꼼히 씻고 깨끗이 헹군 후 수건으로 깨끗이 닦습니다. 식사 전에는 감사의 마음을 담아 간단한 기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도할 때는 고개를 숙이고 눈을 감으며 조용히 기도합니다. 식사 전에는 가족이나 식사 참석자들에게 인사를 합니다. 인사할 때는 안녕하세요, 맛있게 드세요 등의 말을 사용합니다. 인사할 때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태도로 합니다.식사 전에는 자리를 배치하는데요. 나이가 많은 분이나 귀빈을 중심으로 자리를 배치합니다. 한국은 자리 배치 시 상하 관계를 고려합니다. 

 

음식을 먹을 때 쩝쩝 소리, 면발을 후루룩 소리 내며 빨아들이는 것, 삼킬 때 꿀꺽 소리 내는 것 등은 자제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조용히 음식을 먹는 것이 예의 바른 태도입니다. 식사 중에는 대화를 자제하고 조용히 먹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도중 잠시 식사를 멈출 때는 수저와 포크 등을 ㅅ자 모양으로 두며, 음식을 다 먹었을 때는 4시 방향으로 가지런히 놓아둡니다. 또한 식사 중에는 생리현상은 자제해야 합니다. 음식을 남기지 않고 깨끗이 먹는 것이 좋고 식사 중 휴대폰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예의 바른 태도입니다. 

 

식사가 끝나면 사용한 그릇과 수저를 깨끗이 정리해야 합니다. 본인이 사용한 그릇과 수저는 제자리에 가지런히 놓습니다. 어른들이 사용한 그릇과 수저도 함께 정리하는 것이 예의 바른 태도입니다. 남은 반찬은 정리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를 마치고 일어설 때는 잘 먹었습니다 또는 감사합니다라는 인사를 하는데요. 음식을 제공해 주신 분들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식사 후 이를 닦거나 양치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사 중 사용한 냅킨은 식탁 위에 놓아둡니다. 식사 후 휴식을 취하거나 대화를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마무리

한국 전통 음식 문화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철학이 깊이 담겨 있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한국 전통 음식 문화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은 우리 고유의 전통을 이어가는 일이기도 합니다. 앞으로도 한국 음식 문화의 아름다운 모습들을 더 많이 알리고 전승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